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국제 연합의 친선대사이자 인권운동가인 젠질 미리암 마케바(Zenzile Miriam Makeba, 1932~2008)의 명곡을 전해 드립니다.
반 아라파트헤이트운동에 참여하였던 마케바는 넬슨 만델라가 석방된 해인 1990년에 30년 만의 망명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1967년에 발표된 미리암 마케바의 대표곡입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타운쉽 댄스를 기반으로 한 경쾌한 리듬과 춤추기 좋은 멜로디가 특징인 곡으로 세계적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스와힐리어로 '천사'라는 뜻의 노래입니다.
애절하면서도 아름다운 멜로디가 돋보이는 사랑의 이야기를 담은 곡입니다.
마케바는 아라파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일찍부터 참여하였고, 1959년 영화 '컴백, 아프리카'를 통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 후 유럽의 주요 도시에서 공연했습니다. 런던에서 만난 후 '해리 벨라폰테'는 마케바의 동료이자 멘토가 되었고, 얼마 뒤 그녀를 미국으로 데려가 꽃을 피우게 도왔습니다.
해리 벨라폰테와 함께 부른 버전입니다. 해리의 부드러운 음성이 너무 다정하게 느껴집니다.
코사(Xhosa)족의 전통적인 노래로, 코사어 특유의 클릭 소리가 노래 중간에 들어가 있습니다.
전통과 현대 음악의 조화를 보여주는 곡으로, 마케바의 민족적 뿌리가 잘 드러나는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Voice of South Africa라는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시키 조안'이 부르는 영상입니다.
애니멀즈의 1964년 버전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민요입니다.
브라질의 전설적인 작곡가 George Ben Jor가 만든 보사노바 곡입니다.
'Thulasizwe'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Zulu어로된 찬송가 '고요'입니다. 'I shall be Released'는 밥 딜런이 1967년에 발표한 인권과 자유을 상징하는 곡입니다. 마케바는 메시지가 비슷한 이 두 곡을 결합하여 자주 불렀습니다. 니나 시몬과 함께 부르는 영상입니다.
Thulasizwe ungabokhala, uJehovah wakho uzokunqobela.
고요히 하라, 하나님이 너를 승리하게 하리라
카보베르데의 맨발의 디바, 세자리아 에보라 (2) | 2024.03.22 |
---|---|
[Uganda] Geoffrey Oryema - The River (0) | 2018.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