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쁜사 월드뮤직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가쁜사 월드뮤직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N
    • 대한민국
    • 유럽
    • 남미
    • 아시아
    • 북중미 N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검색 레이어

가쁜사 월드뮤직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아프리카

  • 아프리카의 황금 목소리, 살리프 케이타

    2025.04.30 by 가쁜사

  • 마마 아프리카, 미리암 마케바

    2025.01.22 by 가쁜사

  • 카보베르데의 맨발의 디바, 세자리아 에보라

    2024.03.22 by 가쁜사

  • [Uganda] Geoffrey Oryema - The River

    2018.02.11 by 가쁜사

아프리카의 황금 목소리, 살리프 케이타

광대하지만 국토의 대부분이 사하라 사막인 아프리카 말리의 전설적인 가수 Salif Keita의 음악을 몇 곡 전해 드립니다. 약간은 생소할 수도 있지만 모든 곡이 깊이가 있고 공감을 주리라 생각합니다.자연스럽고 영혼을 울리는 목소리로 깊은 울림을 주는 싱어송라이터로 1968년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습니다.왕족이지만 일종의 기형이라 할 수 있는 알비노 가수로 유명합니다. YamoreCesária Évora와 함께 부르는 부드럽고 애절한 곡입니다. Africa말리와 아프리카 대륙 전체를 향한 사랑을 노래하는 웅장하면서도 따뜻한 곡입니다.Tomorrow희망과 변화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곡으로 리듬이 경쾌하면서도 깊이가 있어 보입니다. Tekere듣다 보면 절로 어깨를 들썩들썩거리게 만드는 축제 분위기의 곡..

아프리카 2025. 4. 30. 07:00

마마 아프리카, 미리암 마케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싱어송라이터, 배우, 국제 연합의 친선대사이자 인권운동가인 젠질 미리암 마케바(Zenzile Miriam Makeba, 1932~2008)의 명곡을 전해 드립니다.반 아라파트헤이트운동에 참여하였던 마케바는 넬슨 만델라가 석방된 해인 1990년에 30년 만의 망명생활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Pata Pata1967년에 발표된 미리암 마케바의 대표곡입니다.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타운쉽 댄스를 기반으로 한 경쾌한 리듬과 춤추기 좋은 멜로디가 특징인 곡으로 세계적 히트를 기록했습니다. Malaika스와힐리어로 '천사'라는 뜻의 노래입니다.애절하면서도 아름다운 멜로디가 돋보이는 사랑의 이야기를 담은 곡입니다. 마케바는 아라파트헤이트 반대 운동에 일찍부터 참여하였고, 1959년 영화 '컴..

아프리카 2025. 1. 22. 08:41

카보베르데의 맨발의 디바, 세자리아 에보라

서아프리카 섬나라 "카보베르데" 출신의 디바 Cesaria Evora의 곡들을 전해 드립니다.'초록의 곶'이라는 의미의 카보베르데는 포르투갈 항해사들이 최초 발견했을 때는 무인도였다고 합니다.그 이후로 포르투갈인들이 정착했고, 노예무역이 성행했던 16세기에 수많은 아프리카흑인 노예들이 끌려왔습니다.56만 명(2017)의 카보베르데 인구중 대부분은 흑인과 포르투갈계 혼혈인 뮬라토입니다. 세자리아 에보라는 포르투갈의 파두 영향을 강하게 받은  카보베르데의 전통음악 "모르나"를 전세계에 알렸습니다.모르나는 파두에서처럼 슬픔을 뜻합니다.한쪽 눈이 사시로 태어나 열악한 환경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며 살아온 그녀의 노래는 고통, 우울, 그리움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가난한 카보베르데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에서 맨발로 공..

아프리카 2024. 3. 22. 19:03

[Uganda] Geoffrey Oryema - The River

꽤 오래 전에 네이버 블로그에 글을 몇 편 포스팅했었는데요, 그 동안 방치만 했다가 늦게나마 관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 중 몇 편을 골라서 옮겨 두겠습니다. 인간의 영혼이 살아 숨쉬는 곳엔 어디에든 음악이 있습니다. 즐거운 곳이든 슬픈 곳이든간에,......오랫동안 이디 아민이라는 정신 나간 독재자가 지배했던 우간다에는 잔혹한 학살로 눈물이 그칠 날이 없었고, 수 많은 사람들이 죽음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외국으로 망명을 했습니다.제프르 오르예마(Geoffrey Oryema) 역시 고위 공직자였던 아버지가 이디 아민의 암살자에 의하여 살해당하자 가까스로 탈출하여 프랑스에 머물게 됩니다. 그는 아촐리 부족의 전통음악에 서구음악을 접목하여 매력적인 월드뮤직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소를 키우는..

아프리카 2018. 2. 11. 14:1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가쁜사 월드뮤직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